본문 바로가기

음식, 각종 음식류. (국내,외)

돼지,순대국밥 돼지,순대국밥. 돼지국밥은 1950년 한국전쟁 당시 경상도 지방으로 피난온 피난민들이 먹을 것이 부족하자 미군부대에서 나오는 돼지뼈를 이용해 설렁탕을 만들어 먹은 데서 유래되었다고 전해진다. 경상도에서는 남녀노소 누구나 편하게 즐기는 음식으로 자리 잡고 있다. 지역을 대표하는 향토 음식의 하나로 부산에는 돼지국밥 골목까지 있을 정도이다. 돼지뼈로 진하게 우려낸 육수에 돼지 수육을 넣고 밥을 말아 먹는 국밥으로 부산을 비롯한 경남 지역의 대표적 향토음식이다. 진하게 우려낸 돼지뼈 육수에 돼지고기, 고춧가루 다진 양념, 새우젓을 넣고 끓인 뒤 부추김치나 깍두기를 얹어 먹는다. 허영만 화백은 만화 『식객』에서 돼지국밥에 대해 “소 사골로 끓인 설렁탕이 잘 닦여진 길을 가는 모범생 같다면, 돼지국밥은 비포장도로.. 더보기
발효식품. 된장 발효식품. 된장 인류의 역사는 식품의 역사, 발효식품개발의 역사이다. 오래 전부터 많은 전통식품들이 발효라는 인류가 발견해낸 지혜로운 식품처리 방식으로 생산되었다. 벌써 기원전 6,000년에 효모가 맥주 제조에 사용되었으며, 그리고 치즈 생산에 곰팡이와 식초 생산에 초산균이 역시 오래 전에 이용되었다. 한국인들도 발효식품을 개발하였고, 다양하고 조화된 향을 오랜 기간 동안 즐겨왔다. 한국인이 애호하는 발효식품은 장, 김치, 젓갈, 식초, 식혜, 술 등 이 있다. 우리 조상들의 단백질 공급식품이었답니다. 곰팡이·세균·효모 등 미생물의 작용에 의해 유기물이 분해되어 새로운 성분을 합성하는 발효라는 작용을 이용해 만든 식품의 총칭.콩으로 메주를 쑤어 말린 다음 장독에 메주를 너어 재래간장을 담근 뒤에 장물을 .. 더보기
술 지게미 술 지게미 [ suljigemi , rice-wine filter cake ] 술지게미(suljigemi, rice-wine filter cake)술을 담고 남은 지꺼기(건더기). 술을 빚은 후에 술을 짜내고 난 남은 술 찌꺼기. 술지게미는 곡식으로 술을 빚은 후에 술을 짜내고 난 남은 술 찌꺼기를 말하는 것으로 주박(酒粕), 주자(酒滓), 주정박(酒精粕), 재강, 술비지이라고도 한다. 술을 빚은 후에 술밑을 맑게 여과하면 청주, 청주를 거르고 난 술지게미에 물을 섞어 거른 것을 탁주라고 한다. 술지게미를 원료로 한 소주로, 제2차 세계대전 이전에는 청주업자의 부업으로서 전국 각지에서 제조되고 있었지만, 그 특유의 향기가 너무 강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생산량이 적어지고 있다. [제법] 술지게미 10kg에.. 더보기
금정산성 막걸리. 금정산성 막걸리. 대한민국 민속주 1호 막걸리 금정산성 막걸리는 술빚기에 적합한 온도와 습도가 유지되는 해발 400m의 청정 환경을 갖춘 금정산성마을에서 제조된다. 깨끗한 자연환경속에서 발효된 자연산 누룩과 250m의 암반수를 사용한다. 금정산성 전통 막걸리의 맛을 그대로 느낄 수 있는 알코도수 8도의 100% 국내산 살아있는 쌀막걸리로 누룩 질이 전국 으뜸이며 산수로 술을 빚기 때문에 은은한 향과 구수한 맛이 일품이다. 제조 공정에서 전통 양조 방식을 그대로 따라 만든 발효주로 우리나라 많은 막걸리 중에서 유일하게 향토민속주로 지정되어 있는 대한민국 민속주 1호 막걸리이다. 금정산성 막걸리는 그 유래가 정확하지는 않지만 조선 초기부터 이곳 화전민이 생계수단으로 누룩을 빚기 시작한데서 비롯되었으며 숙종 .. 더보기
국화차 ,菊花茶. 국화차 ,菊花茶. 말린 감국(甘菊)의 꽃잎으로 만든 한국의 차. 국화차(菊花茶)는 감국의 꽃을 우려 만든 전통차이다. 한국 외에도 동아시아에서 널리 마신다. 학명은 Chrysanthemum morifolium RAMAT. 이다. 높이는 1m에 달하며 잎은 어긋나고[互生] 자루가 있으며 난형(卵形)으로서 날개모양[羽狀]으로 중앙부까지 갈라진다. 가장자리는 불규칙한 톱니모양이다. 가을철에 원줄기 윗부분의 가지 끝에 두상화(頭狀花 : 꽃)가 달리는데, 두화(頭花) 주변의 꽃은 설상화(舌狀花)이고 중앙부에는 관상화(管狀花)가 있다. 열매는 수과(瘦果)이다. 오래 재배해 오는 동안 많은 변종이 개발되었으며, 꽃의 지름에 따라 18㎝ 이상인 것을 대륜(大輪), 9㎝ 이상인 것을 중륜, 그 이하의 것을 소륜으로 구별.. 더보기
대한민국 대표 음식 대한민국 대표 음식. 원시 시대 약 60만 년 전부터 추정되는 평양의 검은모루 유적과 경기도 연천군 전곡리, 충북 청원군 두루봉, 강원도 명주군 심곡리 등의 전기 구석기 시대의 유적이 발굴되어 당시의 생활을 짐작하게 해준다. 그 밖에 중기, 후기 구석기 유적이 도처에서 발굴되고 있다. 구석기인은 동굴에서 살았고 돌을 두들겨 주먹도끼, 찍개, 긁개, 돌망치, 돌칼들을 만들어 사냥이나 음식을 조리하는 데 사용하였다. 당시의 인류는 불을 이용할 줄 알았고 음식을 불에 구워 먹을 줄 알았다. 구석기인이 한반도에서 사라지고 기원전 5000년경에 고(古)아시아족의 한 부류가 한반도에 빗살무늬 토기를 가지고 들어와 신석기 문화를 이루게 되었다. 신석기 시대 후기에 이르러 간석기를 갖고 농경을 시작하였다고 한다. 강원.. 더보기
김치, Kimch. 김치, Kimch. 한국의 대표적인 채소 발효 식품으로 소금에 절인 채소에 젓갈과 양념을 혼합하여 저온에서 발효시켜 만든다. 김치는 무, 배추, 오이, 열무 등의 채소를 저농도의 소금에 절여 고추, 파, 마늘, 생강, 젓갈 등의 양념을 혼합하여 저온에서 발효시켜서 먹는 식품으로 한국인의 식탁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음식 중의 하나이다. 우리 조상들은 예로부터 수분이 많은 채소를 오래 저장하기 위한 수단으로 여러 가지 방법을 고안하였다. 여기에서 채소를 소금으로 절여 여러 가지 양념에 섞어 먹는 방법이 개발되었고 이것이 오늘날의 김치가 되었다. 김치는 여러 종류의 식재료를 이용하여 만든 발효식품으로 각종 무기질과 비타민이 풍부해 영양학적으로 우수하다. 젖산균에 의해 정장작용을 하고 소화를 도와주며, 식욕을 증.. 더보기
전통 장, 발효 식품. (콩으로 만든 발효식품) 전통 장, 발효 식품.(콩으로 만든 발효식품) 묵을수록 맛이 조은, 전통 장. 음식 맛은 장맛이다.’라는 속담이 있어요. 이 속담은 장 콩을 발효시켜 만든 장은 우리나라 음식의 제 맛을 내는 대표적인 조미료예요. 예부터 우리 조상들은 ‘음식 맛은 장맛’이라고 할 만큼 장을 중요하게 여겼고, 장 담그는 데도 남다른 정성을 기울였어요. 이 음식 맛을 결정할 만큼 중요하다는 뜻이지요. 간장, 된장, 고추장은 우리나라의 전통 조미료라고 할 수 있어요. 바람이 잘 통하고 햇빛이 잘 드는 곳에 장독대를 만들고 날마다 장의 상태를 살폈지요. 또한 금줄이나 하얀 종이로 만든 버선을 거꾸로 붙여 놓으면 장맛을 망치는 잡신을 막을 수 있다고 생각했어요. 장을 만드는 기본 재료는 콩과 소금이에요. 예로부터 ‘밭에서 나는 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