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물 (역사적인), 국내,외

박정희 대통령,전두환 대통령, 박정희 대통령,전두환 대통령. 박정희 대통령의 일화, 논바닥에서 펑펑 울던, 박정희 전 대통령출생-사망1917년 11월 14일, 경상북도 구미 - 1979년 10월 26일가족배우자 육영수, 딸 박근혜, 딸 박근령, 아들 박지만수상1963년 무궁화대훈장경력1978.12~1979 제9대 대한민국 대통령 1972.12~1978 제8대 대한민국 대통령 1972 통일주체국민회의 의장관련정보역대 대한민국 대통령 독재 업적 박정희 대통령 > 새마을운동/ 10.26사태 전두환 대통령 > 5.18민주화운동 5-7대는 직선/ 8-9대는 간접선거/ 강력한 리더쉽/ 경제발전의 기초를 다진 대통령/ ​박정희 대통령/ 긍정적인 평가 요소/ 경제 새마을운동/ 베트남파병/ 박정희 리더십/ *새마을운동, 1970년부터 시작된 범국민적.. 더보기
12·12군사반란,[ 十二十二軍事叛亂 ] 12·12군사반란,[ 十二十二軍事叛亂 ] 1979년 12월 12일 전두환·노태우 등이 이끌던 군부 내 사조직인 '하나회' 중심의 신군부세력이 일으킨 군사반란사건. 1979년 12월 12일 전두환ㆍ노태우 등이 주동하고 군부내 사조직인 하나회가 중심이 되어 신군부 세력이 일으킨 군사반란으로, 최규하 대통령의 재가 없이 당시 계엄사령관인 정승화 육군참모총장을 불법으로 강제 연행하는 등의 사건이 일어났다. 김재규가 대통령 박정희를 살해한 1979년 10ㆍ26사건을 계기로 하여 정승화 참모총장이 계엄사령관에 취임한다. 전두환 등 신군부 세력은 정승화가 김재규로부터 돈을 받았다고 주장하고, 10ㆍ26사건 수사에 비협조적이라고 하여 정승화를 보안사 서빙고 분실로 강제 연행한다. 이 일련의 사건에 관여한 사람은 9사단.. 더보기
박정희, [ 朴正熙 ] 박정희, [ 朴正熙 ] 본관은 고령(高靈). 1917년 11월 14일 경상북도 선산군 구미면 상모리 117번지[현 경상북도 구미시 상모동 171]에서 아버지 박성빈과 어머니 백남의의 5남 2녀 중 막내아들로 태어났다. ​대구의 저명한 항일 운동가인 박상희(朴相熙)는 박정희(朴正熙)의 형이다. 5·16 군사 정변을 함께 감행한 김종필(金鍾泌)은 박상희의 사위로, 박정희의 처조카이다. 부인은 육영수(陸英修)이고, 자녀는 딸 박근혜(朴槿惠), 박서영[본명 박근영(朴槿令)]과 아들 박지만(朴志晩)이 있다. 출생 - 사망 직업, 1917년 ~ 1979년 대통령, 정치가, 군인 이칭/ 별칭/ 유형/ 시대/ 출생 - 사망/ 성격/ 출신지/ 성별/ 본관/ 관련/ 사건/ 대표/ 관직(경력) 호 중수(中樹) 인물 현대 1.. 더보기
인물 정보, 대통령 박정희, 인물 정보, 대통령 박정희, 1917년 경북 구미 출생. 1937년 대구사범학교 졸업 후 문경초등학교 교사를 지냈다. 만주군관학교 거쳐 1944년 일본육사 졸업. 1946년 조선경비사관학교(육사 전신) 졸업 후 소위 임관. 6·25때 육군본부 정보국 제1과장 거쳐 1953년 준장 승진. 제5·7사단장 거쳐 1958년 소장 승진. 1961년 5·16군사혁명을 주도,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취임. 1963년 대장 예편 후 민주공화당총재로 제5대 대통령 당선. 1962년부터 경제개발5개년계획과 새마을운동 추진. 1967년 제6대 대통령 재선. 1970년 경부고속도로·포항제철 건설. 1971년 제7대 대통령 당선. 1972년 제8대 대통령 당선. 1978년 제9대 대통령 당선.1979년 10·26사태로 서거. 저.. 더보기
신숭겸,[ 申崇謙 ] 신숭겸,[ 申崇謙 ] 고려의 개국공신으로 무관(武官)이자 서예가이다. 평산신씨(平山申氏)의 시조이다. 광해주 출신으로, 기골이 장대하였으며, 무예(武藝)가 뛰어나고 용맹스러웠다. 본래 궁예(弓裔)의 막료였는데, 918년 배현경(裵玄景) 복지겸(卜智謙) · 홍유(洪儒) 등과 함께 왕건(王建)을 왕으로 추대하여 개국공신이 되었다. 『삼국사기(三國史記)』의 기록에 의하면, 신숭겸이 태조를 따라 삼탄에 사냥을 나갔을 때에 태조가 말하는 대로 세 번째 기러기의 왼쪽 날개를 쏘아 맞췄다. 그러자 태조가 크게 칭찬하며 평주라는 본관(本貫)을 내려 주고 기러기를 쏜 근방의 밭 3백 결(結)을 주어 자손 대대로 조세(租稅)를 받게 하였는데, 이 땅을 "궁위(弓位)"라고 불렀다. 927년 공산동수 전투에서, 김락(金樂)과.. 더보기
도연명, 꽃, 국화. 도연명, 꽃, 국화.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google_ad_client: "ca-pub-4162949345545299", enable_page_level_ads: true }); 바야흐로 꽃의 계절이다. 송나라 문인 구양수(歐陽脩, 1007~1072)가 “들꽃이 피어나 그윽한 향기를 풍긴다(野芳發而幽香)”고 한 때가 바로 지금이다. 나의 어린 시절, 산골에는 꽃이 많았다. 특히 날이 더워지기 시작하는 초여름 무렵이면 밭에는 모란과 작약이 만개하여 일대 장관을 이루었다. 모란, 작약과 더불어 국화를 3가품(佳品)이라 한다. 역시 구양수가 〈취옹정기(醉翁亭記)〉에서 말한 대로 ‘바람이 상쾌하고 서리가 깨끗한(風霜高潔)’ 가을이 무르익을 즈음 .. 더보기
논개 , 論介. Non Gae, 논개 , 論介. Non Gae, ?∼1593(선조 26). 조선 중기의 의기(義妓). 조선 중기 임진왜란 때 진주에서 순절한 의기(義妓). 진주목(晉州牧)의 관기(官妓)로 1593년(선조 26) 임진왜란 중 진주성이 일본군에게 함락될 때 왜장을 유인하여 순국한 의기(義妓)이다. 본관은 신안(新安). 아버지는 주달문이고, 어머니는 허씨이다. 전라북도 장수 출신이다. 백제 때의 거열성(居列城)터였다고 하지만, 진주성을 언제 쌓은 것인지는 알 수 없으며, 『신증동국여지승람』 등 사료에 의하면 고려 말인 우왕 3년(1377)에 왜구의 침입을 방어할 목적으로 성을 고쳐 쌓았으며, 임진왜란 때 호남으로 진출하려는 왜적을 철통같이 막아 낸 관문이었다. 이곳 진주성에서는 임진왜란 때 두 번에 걸쳐 큰 싸움이 벌어졌는데.. 더보기
서희, 徐熙. 서희,徐熙. 고려시대 80만 대군을 이끌고 쳐들어온 거란족에 땅을 내주자는 의견에 반대하며 외교담판으로 오히려 강동6주를 얻은 서희를 기리는 곳입니다. 서희에 대한 연구는 서희서거 1000주기인 지난 1999년부터 이천에서 시작됐습니다. 이때 연구를 바탕으로 표준 영정이 제작됐고 외교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됐습니다. 이천지역 역사 연구가들은 서희의 외교에 대한 연구가 오늘날 한반도 정세와도 맞닿아있다며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현장음] 이인수/이천학 연구소장 서희와 소손녕(거란 80만 대군의 적장)이 주고 받았던 고 구려 역사 논쟁이 똑같이 되살아 나게 되었다는 사실입니다 한중간의 역사 논쟁이.. 이천시에서 시작된 서희에 대한 연구는 김대중 대통령이 축사를 보낼 정도로 번성했습니다.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