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의 도구. 국내,외.(옛, 현재) 썸네일형 리스트형 "모든 디젤여객기관차, 2029년까지 KTX-이음으로 대체" "모든 디젤여객기관차, 2029년까지 KTX-이음으로 대체" 새해 첫 외부 일정 'KTX-이음' 타고 시작... 독립운동가 산실 '임청각' 복원 강조 문재인 대통령은 2029년까지 모든 디젤 여객기관차를 전기 고속열차인 KTX-이음으로 대체하는 등 고속철도 인프라 구축을 서두르고, 해외 고속철도 시장 진출에도 힘을 쏟겠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4일 오전 새해 첫 외부 일정으로 강원도 원주역을 찾아 저탄소·친환경 고속열차인 KTX-이음(EMU-260)을 시승했다. 문 대통령은 "파리기후협약 첫해인 올해를 저탄소·친환경 열차 보급의 원년으로 삼겠다"면서 "2029년까지 모든 디젤 여객기관차를 'KTX-이음'으로 대체하겠다"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우리에게 도로가 20세기 경제발전의 동맥이었다면 21세기.. 더보기 한국의 마차, 한국의 마차, 달구지, 각나라 운송장비, 말이나 소가 끄는 수레. 본디 이름은 달구지이지만, 소가 끌면 ‘우차(牛車)’, 말이 끌면 ‘마차(馬車)’라고 부르며, 소가 끌어도 ‘마차’라고 하기도 한다. 우리 나라 달구지는 바퀴 수가 두 개와 네 개의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는데, 앞의 것은 북한지방에서, 그리고 뒤의 것은 중부 이남의 평야지대에서 많이 썼다. 소나 말로 끄는 수레를 말한다. 달구지는 바퀴가 두 개인 것과 네 개인 것이 있다. 두 바퀴 달구지〈사진 12-21〉는 단순히 수레에 채를 연결한 모양으로 바퀴 축이 하나라서 서있을 때도 소가 쉴 수 없는 단점은 있으나 방향 회전이 쉽고 기동성이 좋아 소가 덜 지친다. 달구지(2륜) (전남 농업박물관) 앞바퀴 축에 소에 메우는 채를 연결하여 채를 좌우로.. 더보기 벽골제[ 碧骨堤 ] 벽골제[ 碧骨堤 ] 유형: 유적성격: 저수지건립시기: 연도 330년소재지: 전라북도 김제시 부량면 포교리, 전라북도 김제시 부량면 월승리. 지 정종목지정번호지정일소재지시대종류/분류 사적 사적 제111호 1963년 01월 21일 전라북도 김제시 부량면 월승리 119 지도 백제 저수지둑 전라북도 김제시 부량면에 있는삼국시대 백제의 저수지, 둑. 우리나라 최대의 고대 저수지이다. 역사적 연혁에 대해서는 『삼국사기(三國史記)』 신라본기 흘해왕 21년조에 ‘시개벽골지안장일천팔백보(始開碧骨池岸長一千八百步)’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 시기는 이 지역이 백제의 영토였으므로 후세 사가들이 신라기년(新羅紀年)으로 고쳐 신라기(新羅紀) 속에 삽입한 것으로 본다면 백제의 11대 비류왕 27년(330)에 축조된 것으로 보는 것이.. 더보기 농기구 괭이. 농기구 괭이. 흙을 파고 고르는 데 쓰이는 연장. 돌괭이는 신석기시대 초기부터 나타나 함북 서포항 · 평남 궁산 · 양양 오산리 · 서울 암사동 유적 등에서 출토되었다. 신석기 전기에 속하는 서포항 유적에서 출토된 돌괭이는 길이가 13~17cm 정도의 신바닥 모양이었지만 중기 이후에 나오는 것들은 가늘고 길어서 그 길이가 10~28cm 안팎이 된다. 고고학에서는 돌괭이와 함께 돌 삽, 돌보습과 석기(石器)를 통칭하여 굴지구(堀地具)라고 한다. 돌괭이의 날은 자루에 매기 위해 어깨가 날 부분에 비해 좁은 편이고, 작은 것은 길이는 13~20cm 정도에서 큰 것은 30cm가 넘는 것도 있다. 각암 · 안산암과 같이 단단한 돌을 깨서 만든 것이 많고, 드물게는 갈아서 만든 것도 있다. 나무 자루를 붙이는 방법.. 더보기 호미. 柄鋤. 호미. 柄鋤. 국적 > 한국. 우리나라의 호미는 그 기능과 모양에 따라 논 호미와 밭 호미로 나눈다. 논이나 밭을 매는 데에 쓰는 연장. 호미는 쇠날의 앞이 뾰족하고 위는 넓적하며 한쪽에 가느다란 목이 휘어 꼬부라지고 그 끝에 둥근 나무토막의 자루를 박은 김매는데 쓰는 농기구이다. "재질 크기 용도 · 기능 소장처. 금속 > 철제(鐵製), 초제 > 볏짚. 길이 33. 산업/생업 > 농업 > 파종경작 > 호미. 국립 민속박물관. 논밭의 김을 매거나 주로 사용하는 한국 고유의 연장이다. 우리 호미는 서유구(徐有榘, 1764∼1827)의 『임원경제지』에서도 동서(東鋤, 동쪽나라의 호미)라고 했을 만큼 우리나라에서나 볼 수 있는 연장이다. 부등변 삼각형인 날의 한쪽 모서리에 목을 휘어서(용접기가 나오면서 이어대..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