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지산에서 시작한 태화강은 고헌산과 신불산, 간월산에서 흐르는 물을 언양에서 아울러 동으로 흘러 돌아, 치술령에서 시류하는 대곡천 물을 합쳐 북으로 흐르는 듯 동쪽으로 흘러 범서 망성에 이른다. 그 남쪽으로는 전원이 펼쳐져 있고 그 전원과 강 사이에 사장이 있어서 여기에는 깨끗한 자갈들이 깔려있다.
옛날 신라때 왕이 친공하는 재에서 남루한 천인으로 희롱 받은 한 중의 발자취를 따라오다 이곳에서 영축산으로 나르는 듯 사라지는 것을 보고 그가 문수보살임을 깨달은 경순왕이 멀리 바라보기만 하였다는 “망성”이란 그곳이다. 또 강물은 여기에서 국수봉에서 흐르는 중 리천을 합쳐 동남으로 돌아 층암절벽의 높은 벼랑을 받아 남으로 흐르며 여기가 이름 높은 백룡담이다.
옛날 선인들의 말을 빌리면 백룡이 자리잡고 살았다는 곳이다. 날이 가물어 천지가 타오를 때 이 곳에서 머리 숙여 기우제를 지내면 영검이 있었다.
검은 듯 푸른 수면에 산인가 바위인가 하늘에 솟은 층암, 수심도 깊은 수면 위로 초록색 물빛이 감도는 바위 그림자가 투명 확연하게 비치는데, 마치, 금강산 해금강의 한 봉우리를 옮겨 놓은 듯, 이 부근의 지질이나 암층과는 전혀 다른 암질을 가진 바위가 우뚝 서 있다. 이곳이 시인 묵객들이 즐겨 찾던 선바위이다.
선바위,
이 바위가 서 있는 자리가 태화강의 중류인 백룡담 여울이라 한다. 물 맑고 산 좋은 이곳에서 하늘은 멋진 조각의 솜씨를 남겨 향인들이 시 읊고 노래부르고 자연을 즐기며 이곳에 정각을 세우니 이름지어 입암정이라 하였다. 오늘도 선바위는 몇만 년 흘러온 태화강의 산증인처럼 우뚝 서 있고, 찾는 사람들의 발길은 멈추지 않는다.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인왕산(仁王山)에 있는 신앙의 대상으로 신성시 된 바위. 선돌. 시도민속문화재.
서울특별시 민속자료 제4호. 형상이 마치 중이 장삼을 입고 서 있는 것 같아서 ‘禪(선)’자를 따서 선바위[禪巖]라 불렀다고도 한다. 또 조선 태조와 무학대사의 상이라는 전설, 또는 이성계 부부의 상이라는 전설도 있다.
이것은 인간이 죽어서 석불(石佛)이 되었다는 인간의 화신으로 설화되고 있으며, 여기에 빌면 소원성취할 수 있다고 하여 일찍부터 신앙의 대상이 되었던 것 같다.
특히, 자식 없는 사람이 이 바위에 빌면 효험이 크다고 하여 정성을 드리는데, 작은 돌을 붙이면 효험이 더욱 크다고 하여 작은 돌을 문질러서 붙인 자국이 많이 남아 있다. 이를 ‘붙임’이라 하며, 이러한 바위를 ‘붙임바위’라고도 한다.
일제가 남산 꼭대기에 있던 국사당(國師堂)을 선바위 곁으로 옮기게 한 뒤로 더욱 선바위에 대한 신앙은 무속신앙과 밀착되게 되었다. 국사당은 무신당으로서 굿을 행하는 곳이니 바로 옆에 있는 선바위와 복합적으로 신앙의 대상이 된 것이다.
선바위는 전국적으로 보이는 암석숭배의 일종이었겠으나 이것이 전설화되고 무속신앙과 밀착되면서 무속신앙의 주요지가 된 듯하다.
전남,
면적/ 좌표/ 지번/ 소유/ 현황/ 육지와의 거리
655m2
34° 00′ 35″ N, 127° 19′ 04″ E
삼산면 덕촌리 산172-552
국유지
67.1km
목차,
인문사회 환경
자연환경 · 생태계
인문사회환경
ㆍ용도 구분 :자연환경보전지역 ㆍ지목 :임야 ㆍ지자체 개발 계획 :개발계획 없음 ㆍ시설물 · 이용 현황 :낚시 장소 ㆍ영해기점 무인도서 :해당사항 없음 ㆍ과거 주민 거주 여부 :비거주 ㆍ향후 주민 거주 가능성 :가능성 없음 ㆍ사람 거주시 거주 목적 :비거주 ㆍ역사적 가치 :없음 ㆍ주변 해역 이용 현황 :덕촌어촌계가 면허를 받아 마을어업(패류, 기타)에 주변해역 이용 ㆍ타법에 의한 관리 현황 :국립공원(자연공원법) / 연안관리지역계획(연안관리법)
자연환경 · 생태계
ㆍ지형 · 지질 :구성암질은 백악기 안산암 및 안산암질 응회암, 절리 발달, 주전자가 거꾸로 선 형상, 해안은 암반으로 구성, 경사가 매우 급하고, 염풍화혈이 발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