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장육부, 五臟六腑,
우리몸 다섯 개의 내장과 여섯 개의 몸속 기관. 한의학에서 인체의 내부 장기를 통틀어 이르는 말. 간장 , 심장 , 비장 , 폐장 , 신장 , 담부 , 위부 , 소장부 , 대장부 , 방광부 , 삼초부 , 포 , 충/.
[심(心) · 간(肝) · 비(脾) · 폐(肺) · 신(腎) 등 5개의 장(臟)과 담(膽) · 위(胃) · 대장(大腸) · 소장(小腸) · 방광(膀胱) · 삼초(三焦) 등 6개의 부(腑)를 통틀어서 일컬음].
우리 몸의 중요한 기관을 가리키는 표현인데, 오장(五臟)은 심장(心臟, 염통), 간장(肝臟, 간), 신장(腎臟, 콩팥), 비장(脾臟, 지라), 폐장(肺臟, 허파)을 가리킵니다.
육부(六腑)는 위장(胃臟, 밥통), 담낭(膽囊, 쓸개), 방광(膀胱, 오줌통), 삼초(三焦)1), 대장(大腸, 큰창자), 소장(小腸, 작은창자)을 가리킵니다.
우리는 인체 구성을 여러 차원에서 바라볼 수 있다. 앞서 논의한 정(精), 기(氣), 신(神)이 인체를 운용하는 원리적인 측면에서 바라본 것이라면, 오장육부는 인체를 실체적인 구성의 측면에서 바라본 것이다.
『동의보감』 '오장육부'문(門)에서는 각각의 오장육부를 설명하기 전에 미리 이들을 총괄하여 한꺼번에 설명한다. 특히 오장 상호간의 관계에 대해서도 비중을 두어 설명한다. 오장육부란 무엇이며, 오장과 육부의 관계는 어떠한가? 몸 안의 오장육부는 몸 바깥과 어떻게 연결되는가? 이 항목에서는 이런 내용에 일차적인 관심을 보인다. 이 밖에도 오장과 육부에 생긴 병과 치료법을 다룬다.
오장은 간장 ·심장 ·비장 ·폐장 ·신장, 육부는 대장 ·소장 ·쓸개 ·위 ·삼초(三焦) ·방광 등을 말한다. 장(臟)은 내부가 충실한 것, 부(腑)는 반대로 공허한 기관을 가리킨다. 삼초를 상초(上焦) ·중초(中焦) ·하초(下焦)로 나뉘어 각각 호흡기관 ·소화기관 ·비뇨생식기관을 가리키나 삼초가 해부학상의 기관인지 아닌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옛 고서에서는 오장육부(五藏六府)라고 썼으나 후세에 육월편(肉月偏)을 붙여서 오장육부(五臟六腑)라고 썼다.
한의학의 고전 《황제내경(黃帝內經)》의 〈소문편(素問編)〉에 “오장은 정기를 간직하여 쏟아내지 않고 차서 실하지 아니하며, 육부는 소화물을 전하여 간직하지 않고, 실해서 차지 않는다. 이것은 물이 입으로 들어가면 위(胃)가 실하고 장(腸)이 허해지며, 음식물이 내려가면 장(腸)이 실하고 위(胃)가 허해진다. 그러므로 실해서 차지 않고, 차서 실하지 아니하다”라고 하였다. 또한 동양 자연철학에서는 인체의 장부를 오행(五行:목 ·화 ·토 ·금 ·수)에 빗대어 기능적인 상관 관계를 설명하기도 한다.
한의학적인 의미 외에 오장육부는 뱃속 ·마음속 ·몸속 등을 가르키는 뜻으로 쓰이기도 한다.
『동의보감』은 말한다.
세상 사람들이 천지 만물의 이치를 연구하는 데는 힘을 쓰면서, 자기 몸에 있는 오장육부와 모발(毛髮)과 힘줄, 뼈가 어떻게 되어 있는지는 잘 모른다고 옛날의 유학자들이 한탄하였거늘 하물며 의사가 이를 잘 몰라서야 되겠는가?
이는 오장육부가 몸의 기본이자 의학의 기초임을 말한 것이다. 그렇다면 오장육부란 무엇인가? 오장육부는 몸에서 어떤 작용을 하는가? 오장과 육부는 서로 어떤 관계를 이루는가? 몸 속 깊숙이 자리한 오장육부는 몸 밖과 어떻게 연결되는가? 우리 몸에서 오장육부 외에 다른 장(臟)과 부(腑)는 없는가? 『동의보감』은 오장육부에 관한 내용을 이렇게 나누어 정리한다.
오장과 육부의 기능
오장과 육부는 인체를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오장과 육부를 줄여서 장부(臟腑)라고 한다. 장부는 음과 양으로 나뉜다. 몸 깊숙이 있는 것을 음으로 보아 오장인 간, 심장, 비(脾), 폐, 신(腎)이 음에 속한다. 오장보다 바깥에 있는 것이 양이므로 육부인 쓸개, 위, 대장, 소장, 방광, 삼초(三焦)가 양에 속한다.
일반적으로 오장은 정기(精氣), 신기(神氣), 혈기(血氣), 혼백(魂魄)을 간직한다. 반면에 육부는 음식물을 소화시키고 진액을 돌게 하는 기능을 한다. 육부의 '부'는 창고[府]를 뜻하며 달리 그릇이라고도 한다. '부'가 창고를 뜻하기에 '부'에 해당하는 기관들은 비어 있다. 위, 쓸개, 소장, 대장, 방광 등이 모두 비어 있어 있는 기관이다. 따라서 부는 영양분을 저장하며 먹은 것을 소화시켜 찌꺼기와 정수를 가르는 구실을 한다.
육부 중 위와 대장, 소장을 합친 길이는 대략 58자 4치이며 음식물을 9말 2되 1흡 5작 남짓 받아들일 수 있다.
오장과 육부는 짝을 이룬다
오장과 육부는 각각 짝을 이룬다. 그런데 장(臟)은 다섯이고 부(腑)는 여섯이기 때문에 부득이 육부 중 삼초는 짝이 없다. 오장과 육부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폐는 전도지부(傳道地腑, 소장에서 내려 보낸 분해물을 받아들여 수분을 흡수한 후 대변을 만들어 항문을 통해 내려 보내므로 대장을 이와 같이 명명하였다. '전도'란 인도한다는 뜻이다)라 하는 대장과 짝을 이룬다. 심장은 수성지부(受盛之腑, 위에서 초보적인 소화 과정을 거친 음식물이 내려오면 이를 받아들여 영양분을 흡수하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소장을 이와 같이 명명하였다. '수성'이란 받아들인다는 의미이다)라 하는 소장과 짝을 이룬다. 간은 중정지부(中正之腑, '중정'이란 치우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쓸개는 좋지 않은 정신적 자극의 영향을 제거하고 인체의 평정을 유지하기 때문에 이와같이 명명하였다)라 하는 쓸개와 짝을 이룬다. 비(脾)는 오곡지부(五穀之腑, '오곡'이란 곡식을 총칭한 것이다. 위는 음식물을 받아들여 이를 소화시키는 작용이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이 명명하였다)라 하는 위와 짝을 이룬다. 신(腎)은 진액지부(津液之腑, '진액'이란 인체에 존재하는 수분을 총칭한다. 방광이 인체 내의 모든 수분 대사를 총괄하기 때문에 이처럼 명명하였다)라 하는 방광과 짝을 이룬다. 삼초(三焦)는 중독지부(中瀆之腑, 인체의 중심을 관통하는 도랑과 같기 때문에 이와 같이 명명하였다)라 하며 육부 가운데 유일하게 짝이 없다. 대신 물이 나가는 길과 통해 있기 때문에 같은 육부 중 방광에 속한다.
오장은 몸 밖으로 난 일곱 구멍과 연결된다.
오장은 몸의 내부에 있는 장기지만, 얼굴에 있는 일곱 구멍과 연결되어 있다.
코는 폐에 속한 기관으로, 코로 드나드는 폐의 기운이 조화되어야 코로 향기로운 냄새를 잘 맡을 수 있다. 폐에 병이 생기면 숨이 차고 코를 벌름거리게 된다.
눈은 간에 속한 기관으로, 간의 기운이 조화되어야 눈으로 다섯 가지 색깔을 잘 분별한다. 간에 병이 생기면 눈시울이 퍼렇게 된다.
혀는 심장에 속한 기관으로, 심장의 기운이 조화되어야 혀가 다섯 가지 맛을 잘 알 수 있으며, 심장에 병이 생기면 혀가 말려 짧아지며 광대뼈 부위가 벌겋게 된다.
입은 비(脾)에 속한 기관으로, 비의 기운이 조화되어야 입이 음식 맛을 잘 알 수 있으며, 비가 병들면 입술이 누렇게 된다.
귀는 신(腎)에 속한 기관이므로, 신의 기운이 조화되어야 귀가 다섯 가지 소리를 잘 들으며 신에 병이 있으면 광대뼈 부위와 얼굴이 검게 되고 귀가 몹시 마른다.
네 개의 형장과 기항지부
흔히 말하는 오장 이외에도 네 개의 장이 더 있다. 머리, 귀와 눈, 입과 이, 가슴속이 그것이다. 이들은 그릇처럼 겉이 둘러싸여 있고 속은 비어 있으나 짜부라지지 않기 때문에 물체를 간직할 수 있다. 이들을 형장(形臟)이라 하여 일반적으로 신장(神臟)이라 말하는 오장과 구별한다. 신장(神臟)이란 간, 심 장, 비(脾), 폐, 신(腎) 등 오장이 각기 혼(魂), 신(神), 의(意), 백(魄), 지(志) 등 정신을 간직하기 때문에 그렇게 이름한 것이다.
부(腑)에도 기존의 육부 이외에 기항지부(奇恒之腑)라고 하는 여섯 개의 부가 더 있다. 그것은 뇌, 뼈, 맥, 담, 자궁, 골수 등이다. 기항지부란 정상적인 장부와 다른 장부라는 뜻이다. 즉, 형체는 부와 유사하지만 작용은 장과 비슷한 장기를 말한다.
오장의 차이에 따라 사람의 성격이 달라진다,
한의학에서는 오장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사람의 성격이 다음과 같이 달라진다고 본다. 간 큰 사람, 담 큰 사람의 유래도 여기서 비롯된다. 『동의보감』에서는 오장과 사람 성격의 관계를 다음과 같이 말한다.
오장이 모두 작은 사람은 매사에 노심초사, 시름과 근심이 많다. 반면에 오장이 모두 큰 사람은 일을 천천히 하고 여간 해서는 걱정하지 않는다. 오장이 원래 위치보다 높게 있는 사람은 잘난 체하고, 원래 위치보다 낮게 있는 사람은 남의 부하가 되기를 좋아한다. 오장이 다 튼튼하면 앓지 않고, 오장이 다 약하면 항상 앓는다. 또 오장이 모두 똑바로 놓여 있으면 성격이 원만하여 인심을 얻고, 오장이 모두 비뚤게 놓여 있으면 마음이 바르지 않아 도적질을 잘 하며, 또한 저울질을 시켜서는 안 되는데 이는 말을 자꾸 뒤집기 때문이다.
이런 내용에는 심리적인 요인을 몸의 물질적인 토대로 설명하는 심신 일원론적인 사고가 깃들어 있다.
오장육부와 질병
『동의보감』에서는 오장과 육부의 질병에 관해 폭넓게 다룬다. 여기에는 오장의 병이 생기는 이유, 오장에 생긴 병의 경중, 오장 병의 전변, 오장과 육부에 생긴 병의 차이, 오장과 육부에 생긴 병을 치료하는 원리 등이 포함된다.
오장의 병
오장의 병은 왜 생기는가? 이는 걱정, 근심, 지나친 성생활 등 심리적·행동적인 요인과 바람, 찬 기운 등 바깥의 사기가 결합하여 생긴다. 『동의보감』은 이를 다음과 같이 말한다.
걱정하고 근심하며 두려워하고 무서워하면 심장이 상한다. 몸이 찰 때 찬 것을 마시면 폐가 상한다. 이것은 양쪽으로 찬 것을 받아서 겉과 속이 다 상하여 기가 위쪽으로 치밀어 올라 위로 갔기 때문이다. 떨어져서 나쁜 피가 속에 머물러 있는 데다가 성을 몹시 내어 기가 치밀어 올라갔다가 내려오지 못하여 옆구리 아래에 몰리면 간이 상한다. 또한 맞거나 넘어진 경우, 혹은 술 취한 다음 성생활을 하거나 땀이 났을 때 바람을 쏘이면 비(脾)가 상한다. 무거운 것을 힘들게 들어올렸거나 성생활을 지나치게 하거나 땀이 났을 때 목욕을 하면 신(腎)이 상한다.
질병은 사람과 마찬가지로, 태어나고 사멸되는 과정을 거친다. 또 자기에게 유리한 환경이나 시기에는 왕성하다가 불리한 시기나 환경에서는 위축되어 소멸한다. 『동의보감』은 오장이 상생상극하는 날짜를 잘 따져보면 질병이 나을지, 더 심해질지 알 수 있다고 한다. 간병(肝病)이 여름에는 나았다가 가을에는 심해지고, 겨울에는 그냥 있다가 봄에 완전히 낫는다고 보는 것도 이러한 이론에 따른 것이다.
오장의 상생상극하는 이론에 대해 『동의보감』은 『내경』을 인용하여 다음과 같이 말한다.
오장은 자기를 낳아주는 곳에서 기를 받아 자기가 이기는 곳에 전한다. 기는 자기를 낳아준 곳에 머물러 있다가 자기가 이기지 못하는 곳에서 죽는다. 병에 걸려 죽게 되는 것은 먼저 자신이 이기지 못하는 곳에 기가 이르렀기 때문이다. 병에 걸려 죽는 것은 곧 기가 역행하기 때문이다.
이 이론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적용된다.
간은 기를 심장에서 받아 비에게 전한다. 그리고 그 기는 신에 머물러 있다가 폐에 가서 죽는다. 또 심장은 기를 비에서 받아 폐에 전한다. 그 기는 간에 머물러 있다가 신에 가서 죽는다. 비는 기를 폐에서 받아 신에 전하는데 그 기는 심장에 머물러 있다가 간에 가서 죽는다. 폐는 기를 신에서 받아 간에 전하고, 그 기는 폐에 머물러 있다가 비에 가서 죽는다.
이렇듯 오행의 상생상극 이론에 따라 질병의 전변을 따져본다면 하루의 밤낮을 다섯으로 나누어 죽을 때가 아침일지 저녁일지 미리 알 수 있다.
오장과 육부에 생긴 병은 서로 다르다
오장과 육부의 기능이 서로 다르듯 오장과 육부 병의 맥상이 서로 다르며, 질병의 양태와 치료법 등도 서로 다르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맥상이 서로 다르다-육부에 병이 있을 때에는 맥이 빠르게 뛰고, 오장에 병이 있을 때에는 맥이 느리게 뛴다. 맥이 빨리 뛰는 것은 열이 있기 때문이다. 열은 곧 양을 의미하므로 양에 속하는 육부에 병이 있을 때 맥이 빨라지는 것이다. 맥이 느리게 뛰는 것은 한증(寒證)이다. 한증은 음을 의미하므로 음에 속하는 오장에 병이 있을 때 맥이 느리게 뛴다.
• 양태가 서로 다르다-육부에 병이 있을 때에는 찬 것을 달라고 하거나 사람을 보고 싶어하는 반면에, 오장에 병이 있을 때에는 더운 것을 달라고 하고 사람을 피하는 증상을 보인다. 왜냐하면 육부는 양에 속하므로 찬 것을 요구하고 오장은 음에 속하므로 더운 것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또 오장에 생긴 병은 한곳에 머물러 있고 육부에 생긴 병은 아래위로 왔다갔다 하는 점에서도 오장과 육부의 병은 구별된다.
• 치료법이 다르다-오장과 육부에 생긴 병은 치료에 있어서도 차이가 난다. 오장에 생기는 병은 치료하기 어렵고 육부에 생기는 병은 치료하기 쉽다. 오장에 생기는 병을 치료하기 어려운 것은 상극 관계에 있는 장(臟)에 병을 전하기 때문이며, 육부의 병을 치료하기 쉬운 것은 상생 관계에 있는 부(腑)에 병을 전하기 때문이다.
오장이 상극 관계에 있는 장(臟)에 병을 전한다는 것은 심장은 병을 폐에 전하고 폐는 간에, 간은 비(脾)에, 비는 신(腎)에, 신은 심장에 병을 전하는 것을 말한다. 하나의 장이 병을 두 번 전하지는 못하는데 만약 두 번 전하면 죽는다. 육부가 상생 관계에 있는 부(腑)에 병을 전한다는 것은 소장은 위에 병을 전하고 위는 대장에, 대장은 방광에, 방광은 쓸개에, 쓸개는 소장에 병을 전하는 것이다.
또 풍사(風邪)로 인한 질병은 병이 깊이 들어갈수록 치료하기가 어려워진다. 즉 병이 살갗에 있을 때 치료하기가 가장 쉽고 피부와 살, 근맥을 거쳐 육부 등으로 병이 점점 깊이 들어갈수록 치료하기 어려워진다. 가장 깊이 있는 오장으로 병이 들어가면 치료를 해도 절반은 죽고 절반만 산다.
오장육부에 생긴 병을 치료하는 원칙
오장과 육부는 서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그러므로 어느 한 장부가 병들면 그와 통하는 장부를 치료하면 쉽게 낫는다. 이를테면, 심장과 쓸개는 서로 통하기 때문에 심장의 병으로 가슴이 몹시 두근거리면 쓸개를 온화하게 해주고, 쓸개의 병으로 몸을 몹시 떨거나 전광증이 생겼을 때에는 심장을 보해준다.
마찬가지로 간과 대장은 서로 통하기 때문에 간병에는 대장을 잘 통하게 해주어야 하고, 대장병 때에는 간에 딸린 경락을 고르게 해주어야 한다.
또 비장과 소장은 서로 통하기 때문에 비장에 병이 있을 때에는 소장의 화(火)를 내보내 주어야 하고, 소장에 병이 있을 때에는 비장을 윤택하게 해주어야 한다.
또 폐와 방광은 서로 통하기 때문에 폐병에는 방광의 수(水) 깨끗이 비워 주어야 하며, 방광병에는 폐의 기운을 맑게 만들어 주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신(腎)과 삼초(三焦)는 서로 통하기 때문에 신이 병들었을 때에는 삼초를 조화시키는 것이 좋고, 삼초병에는 신을 보하는 것이 좋다.
오장육부는 몸 전체의 활동을 관장하는 '내각(內閣)'이라 할 수 있는데 그 기능에 따라 오장과 육부로 크게 나눈다. 육부는 주로 음식의 소화와 관련된 일을 맡는데, 위는 음식물을 소화시키는 일을, 소장은 소화된 것을 받는 일을, 대장은 소화된 찌꺼기를 밖으로 내보내는 일을, 방광은 소화된 수분을 내보내는 일을 맡는다. 이밖에 쓸개는 용기와 담력을, 삼초는 몸에 진액을 공급하는 일을 담당한다.
육부에서 소화된 것 중 정(精)한 부분은 오장으로 간다. 오장은 정기(精氣), 신기(神氣), 혈기(血氣) 혼백(魂魄)을 간직하며, 생명을 유지시키고 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원천이 된다. 간은 생기가 비롯되는 곳이며, 심장은 정신이 깃드는 곳이며, 비장은 기와 혈을 만드는 곳이며, 폐는 호흡을 맡는 곳이며, 신은 정력과 생식을 맡는 곳이다.
더 나아가 오장 각각은 오행의 배속 원리에 따라 동식물, 곡식, 몸의 동작, 맛, 진액, 냄새, 소리 등과 연결되어 하늘과 땅, 인간을 묶어 주는 중심체로 작용한다.
한의학에서 내장 기관을 '장'과 '부'라는 큰 범주로 나누는 것처럼 서양 의학에서도 내장 기관을 그 기능에 따라 몇 가지 계통으로 나눈다. 소화에 관계되는 위장, 간, 쓸개, 소장, 대장은 소화기계로, 호흡을 담당 하는 폐와 기관지는 호흡기계로, 혈액 순환을 담당하는 심장과 혈관은 순환기계 등으로 나누어 취급하는 것이 그러하다.
오장육부 자극하기,
난이도/ 자세/ 분류/ 다이어트/ 부위/ 힐링/ 효과,
초급 |
선 자세 |
복부 |
변비 |
운동 개요
오장육부 자극하기는 몸의 정가운데 단전을 강하게 쳐줌으로써 오장육부를 자극하는 동작으로, 특히 소화가 잘 안 되는 경우 도움이 된다.
운동 순서
1. 어깨너비로 다리를 벌리고 서서 기마 자세로 무릎을 약간 구부린다 .
2. 팔을 앞으로 뻗은 후 숨을 내쉬며 배꼽 주변을 두들긴다. 20~30회 실시한다.
3. 무릎을 펴고 선 상태로 호흡을 정리한다.
운동 효과
- 복부 체지방을 줄인다.
- 소화를 촉진시킨다.
- 졸음을 쫓는다.
주의사항
- 허리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반드시 무릎을 구부린다.
출처 & 참고문헌
[오장육부 - 몸의 내각 (한권으로 읽는 동의보감, 2012..,)
[오장육부 [五臟六腑] (두산백과)
[ 한의학대사전
[오장육부 [五臟六腑] - (다섯 오, 내장 장, 여섯 육, 장부 부) (고사성어랑 일촌 맺기, 2010. 9. 15., 기획집단 MOIM,)
[오장육부 자극하기 (동영상으로 배우는 요가, 홈요가, 2013. 9.., )
테그 & #오장육부 #한의학 #내장 기관 #기항지부 #장 #혈액 순환 #심장 #혈관 #순환기계 #소화기계 #폐 #위장, #간, #쓸개, #소장, #대장 #혼(魂), #신(神), #의(意), #백(魄), #지(志) #호흡기계 #내장 기관 #정기(精氣) #비장 #신기(神氣), #혈기(血氣) #방광병 #혼백(魂魄) #삼초 #동식물, #곡식, #몸의 동작, #맛, #진액, #냄새, #소리 #서양 의학 #전광증 #기관지
'현대의학, 한의학, 국내,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의학, 뜸" (0) | 2020.02.15 |
---|---|
한의학. (0) | 2020.02.15 |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2 (0) | 2020.01.28 |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1 (0) | 2020.01.28 |
공포의 코로나 바이러스, [Coronavirus], (0) | 2020.01.27 |